신천지 | Home |
이만희가 보혜사인가?
이인규
이만희가 자신을 보혜사라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서 살펴보자.
- 예수님의 말씀을 대언한 본문의 천사는 ‘예수님의 이름’으로 와서 ‘예수님의 말씀’을 대언하기로 약속한 ‘진리의 성령 보혜사’의 입장에 있다(요14:26). 진리의 성령이라 함은 진리인 하나님의 말씀(요17:17)을 가지고 오는 자(계1:1)라는 말이며 보혜사는 은혜로 보호하는 스승이라는 뜻이다. 그는 ‘하나님의 이름(요5:43)’으로 와서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한(요14:24) ‘보혜사 예수님(요일2:1 난하주)’이 하나님께 구하여 보낸 대언자이므로 ‘다른 보혜사’라 한다(요14:16). 승천하신 예수님은 하나님께서 자신을 대언자로 삼으신 것처럼 보혜사 성령을 자신의 대언자로 삼아 말씀을 전하시며 직접 우리에게 나타나 말씀을 가르쳐 주시지 않는다.(요한계시록의 실상, 417쪽)
(1) 이만희는 “진리의 성령”이 “하나님의 말씀을 가지고 오는 자”라고 말한다
성경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갖고 온 천사나 선지자나 사도를 "성령"이라고 불렀던 적이 있는가?
아래 요14:16-17에서 말하는 진리의 영은 우리 안에 거하시는 "성령"을 말한다.
신천지에서는 이만희가 교인들의 안에 거하는가? 세상은 진리의 성령인 보혜사를 보지도 알지도 못한다고 하지 않았는가? 세상은 이만희를 보지도 못하는가?
요 14:16-17 내가 아버지께 구하겠으니 그가 또 다른 보혜사를 너희에게 주사 영원토록 너희와 함께 있게 하리니 그는 진리의 영이라 세상은 능히 그를 받지 못하나니 이는 그를 보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함이라 그러나 너희는 그를 아나니 그는 너희와 함께 거하심이요 또 너희 속에 계시겠음이라
(2) 이만희는 “보혜사”가 “은혜로 보호하는 스승”이라는 뜻이라고 말한다.
이만희는 보혜사를 한문풀이를 하여 保惠師, 즉 “은혜로 보호하는 스승”이라고 해석을 한다. 그는 보혜사가 헬라어 "파라클레토스"라는 단어를 음역한 것이라는 사실을 전혀 모르고 한문풀이를 하고 있는 것이다.
"파라"라는 헬라어는 "옆에"라는 뜻이고 "클레토스"는 "클레오"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는데 "부르다"라는 의미로서 파라클레토스는 문자적으로는 "옆에서 부르는 자"가 되지만, 그 단어는 헬라의 법정용어로서 피고측 변호인이라는 뜻을 갖는다.
예를 들어 그리스도를 한문으로 음역하여 기독(基督)이라고 하는데, 이만희는 그리스도를 “기독”이라는 한문으로 해석하는 것과 같으며, 예수를 야소(耶蘇)라고 하는데 그것도 한문으로 해석할 것인가? 베드로는 한문으로 음역할 때에 피득(彼得)이라고 하는데, 이것도 한문으로 해석할 것인가?
保惠師의 “사”가 스승 “師”이므로 스승인 이만희를 말한다는 해석은 웃을 수도 없는 코메디에 가깝다. 그렇다면 醫師는 의학을 전하는 스승이고, 按摩師는 안마를 전하여 주는 스승인가? 이만희는 牧師를 가축을 치는 일을 가르쳐주는 스승으로 해석하는가?
3) 이만희는 천사가 쓰는 사람이 보혜사이므로 사도요한이 보혜사이고, 그래서 이만희가 보혜사가 된다고 주장하는 비논리적이고 비성경적인 해괴망칙한 주장을 하고 있다.
- 보혜사 성령은 요한복음 16장 14절 말씀대로 예수님의 것을 가지고 와서 장래일을 알린다. 계시록 1장 1~3절과 10장에 본 바 보혜사의 입장에 있는 천사가 택하여 쓰는 사람은 그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를 전해 받는 사도 요한이다. 그러므로 요한은 ‘성령의 대언자’로서 보혜사의 입장에 놓인다. 그는 진리의 성령은 아니지만 그와 함께 하는 영(요14:17)으로 말미암아 보혜사의 위치에서 대언하게 된다. 계시록 성취 때가 되면 보혜사 성령이 함께 하는 대언자 곧 사도 요한의 입장으로 오는 목자가 출현하여 밤과 같이 어두운 심령을 밝힌다. 성경에 무지한 사람들은 그를 핍박할 것이나 그것은 보혜사 성령을 보내신 예수님을 찌르는 행위가 된다.(요한계시록의 실상, 418쪽)
앞의 (2)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혜사”는 한문의 뜻이 아니며 “파라클레토스”라는 헬라어를 비슷한 발음으로 음역한 것이다. 이만희는 사도요한에게 계시를 전하여 준 천사를 “보혜사 입장에 있는 천사”라고 말한다. 그런데 곧이어 사도요한이 “대언자”이므로 “보혜사의 입장에 놓인다”고 말한다. 게다가 “보혜사 성령이 함께 하는 대언자 곧 사도 요한의 입장으로 오는 목자가 출현한다”고 주장을 한다.
즉 보혜사라는 단어는 “보혜사의 입장”이라는 이상한 표현과 함께, 천사 - 사도요한 - 이만희로 이동되어지는데, 이만희는 “사도요한이 입장”이 되어진다고 말한다.
이만희는 비논리적이며 비상식적인 말도 안되는 황당하고 무지한 논리를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첫째, 이만희는 천사가 보혜사 입장이라고 주장하는데.... 천사를 보혜사라고 부른 성경은 단 한 구절도 없다.
둘째, 이만희는 사도요한이 대언자이므로 보혜사 입장에 놓인다는 주장도 황당한 주장이며, 대언자라는 성경구절은 “파라클레토스”로서 다른 번역성경은 “변호자”로 번역하였다, 더욱이 본문은 천사나 사도요한이 대언자라는 것이 아니라, 예수가 대언자라는 내용이다.
“나의 자녀들아 내가 이것을 너희에게 씀은 너희로 죄를 범치 않게 하려 함이라. 만일 누가 죄를 범하면 아버지 앞에서 우리에게 대언자(파라클레토스)가 있으니 곧 의로우신 예수 그리스도시라“(요일2:1)
즉 파라클레토스라는 단어는 헬라의 법정용어로서 "피고측 변호사"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예수님이 장차 심판에서 우리를 변호하여 준다는 뜻이다.
예수가 대언자(변호자)가 되어주신다는 성경구절을 천사라고 해석하며, 사도요한이라고 해석하는 이만희는 도대체 성경을 어떻게 보는 것인지 묻고 싶다. "은혜로 보호해주는 스승"이라는 한문풀이가 보혜사의 뜻인가?
과연 예수가 우리의 변호자가 되신다는 본문구절이 “보혜사 성령이 함께 하는 대언자 곧 사도 요한의 입장으로 오는 목자가 출현한다”는 뜻인가?
[공동번역] 나는 믿음의 자녀인 여러분이 죄를 짓지 않게 하려고 여러분에게 이 편지를 씁니다. 그러나 혹 누가 죄를 짓더라도 아버지 앞에서 우리를 변호해 주시는 분이 계십니다. 그분은 의로우신 예수 그리수도이십니다.
[표준새번역] 나의 자녀 여러분, 여러분이 죄를 짓지 않게 하려고 내가 여러분에게 이 글을 씁니다. 누가 죄를 지을지라도 아버지 앞에서 변호해 주시는 분이 우리에게 계시는데, 곧 의로우신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현대인의성경] 나의 믿음의 자녀들이여, 여러분이 죄를 짓지 않게 하려고 나는 이 편지를 씁니다. 그러나 만일 누가 죄를 짓더라도 아버지 앞에서 우리를 변호해 주시는 의로우신 예수 그리스도가 계십니다.
[KJV] My little children, these things write I unto you, that ye sin not. And if any man sin, we have an advocate with the Father, Jesus Christ the righteous:
[NIV] My dear children, I write this to you so that you will not sin. But if anybody does sin, we have one who speaks to the Father in our defense--Jesus Christ, the Righteous One.
셋째, 이만희가 어떻게 사도요한의 입장이 되며, 사도요한이 어떻게 보혜사의 입장이 되는가? 이러한 주장을 하는 자체가 부끄러운 생각이 들지 않는지 묻고 싶다.
이만희는 천사가 보혜사의 입장이므로 사도요한도 보혜사이고, 사도요한이 보혜사의 입장이므로 이만희가 보혜사가 된다는 전혀 말이 되지 않는 해괴망칙한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헬라어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이만희가 헬라어 파라클레토스가 음역된 보혜사라는 단어를 한문으로 풀이하여 자신이 “은혜로 보호하는 스승”이므로 보혜사라고 주장하는 웃을 수 없는 코메디가 연출되었던 것인데, 이만희는 이렇게 주장을 하고 있다.
- 성경이 히브리어나 헬라어로 기록되었다 할지라도 기록된 바 그 예언이 대한민국에서 이루어질 말씀이라면, 한국어로 번역된 성경의 말씀이 가장 정확할 것이다. 굳이 이유를 말하자면 그것은 살아계신 하나님이 대한민국 사람을 들어 하나님의 뜻을 이루시기 때문에 성령의 역사로 정확하게 기록했을 터이고, 또한 하나님이 기록된 말씀대로 이루실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성령의 역사를 믿는 성도라면 아멘으로 화답할 것이다.(성도와 천국, 9쪽)
이만희는 실제로 한문풀이를 하고 있다.
그는 삼위일체를 몸이 하나이며(一體) 보좌가 셋(三位)인 사람으로 해석하여 이만희 자신이 삼위일체라고 주장한다. 삼위일체에서 삼위는 위격(인격, person)을 말하며, 일체는 본질(본체, nature)을 뜻한다는 기본적인 용어조차도 모르는 것이다.
히브리서 1:3에서 “휘포스타시스”(confidence essence, nature, person)라는 단어가 나타나는데 이 단어의 뜻이 “본질, 본체, 실체, 실상”이라는 뜻을 갖는다.
“이는 하나님의 영광의 광채시요 그 본체(휘포스타시스)의 형상이시라 그의 능력의 말씀으로 만물을 붙드시며 죄를 정결케 하는 일을 하시고 높은 곳에 계신 위엄의 우편에 앉으셨느니라”(히1:3)
즉 예수도 하나님과 동일한 휘포스타시스를 갖는다는 성경말씀에서 삼위일체라는 용어가 발전된 것이며, 삼위일체란 “한 본질을 가진 세분(three persons in one nature)”으로서 가장 성경적인 정통적인 기독교 신관의 정의가 되어왔다. 세분은 하나의 본질(nature)을 가지고 있어서 하나됨(일체)을 유지하는 한편, 각자의 독특한 특성(property)에 의해서 위격으로 상호구별(삼위)된다는 뜻이다.
이 교리가 16세기 중국에 기독교가 들어오면서 한자로 “三位一體”라고 번역되었는데, 선교사들이 그대로 우리나라에 이 중국식의 용어를 들여온 것이다.
그는 무지한 사이비집단의 교주답게 삼위일체를 몸이 하나이고, 보좌가 셋으로 해석하여 자기가 삼위일체라고 주장을 하여 웃을 수도 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
- 본문 21절의 말씀은 위(位)가 셋이요 육체는 하나이니 삼위일체라 할 수 있고 3장 12절에는 이긴 자에게 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의 이름과 하나님과 예수님의 이름을 기록하였으니 일체(一體)에 위(位)가 셋이니 이것이 말하자면 삼위일체이다.(천국비밀계시)